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5년 04월 24일 오늘의 뉴스

지아그데의 지적 기록/제약 이슈 관련

by 지아그데 2025. 4. 24. 10:33

본문

안녕하세요!

날씨는 따뜻해지는데 괜히 허탈함만 몰려오네요...

ㅎㅎ,,

 

오늘의 뉴스 시작합니다.

롯데바이오로직스, 美 ADC 생산 본격 가동…아시아 기업과 첫 계약

 

롯데바이오로직스, 美 ADC 생산 본격 가동…아시아 기업과 첫 계약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아시아 소재 바이오 기업과 항체약물접합체(ADC) 임상시험용 후보 물질 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미국 뉴욕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 내 2023년부터

n.news.naver.com

-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아시아 소재 바이오 기업과 항체약물접합체(ADC) 임상시험용 후보 물질 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회사는 미국 뉴욕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 내 ADC 생산 시설에 약 1억 달러를 투자하여 최대 1000리터 접합 반응기를 포함한 통합 생산 및 정제 라인을 구축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롯데바이오로직스는 ADC 위탁개발생산 서비스를 본격화하고 추가 고객사 확보와 파트너십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제임스 박 대표이사는 고품질 ADC 의약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견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뉴욕 시러큐스 캠퍼스에서 약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ADC 생산시설 준공 리본 컷팅식을 개최했다.

美 '4조' 식도염약 시장 정조준…HK이노엔, 케이캡 3상 성공

 

美 '4조' 식도염약 시장 정조준…HK이노엔, 케이캡 3상 성공

HK이노엔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이 미국 3상 임상시험에 성공했다. 올해 4분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약품 허가 신청을 하는 게 목표다. HK이노엔은 미국 파트너사 세벨라가 23일(현지시

n.news.naver.com

- HK이노엔의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이 미국에서 진행된 두 건의 3상 임상시험 'TRIUMpH'에서 미란성 식도염 및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 평가에서 모든 지표를 충족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파트너사 세벨라는 올해 3분기까지 추가 임상시험을 마치고 4분기에 미국 FDA에 신약허가신청(NDA)을 제출할 계획이다. 케이캡은 기존 치료제(PPI) 대비 위산 역류 증상 개선에서 우월성을 보여 전문가들로부터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2019년 국내 출시 후 2024년까지 누적 처방 매출 7054억원을 기록한 케이캡은 이미 15개국에 출시되었으며, 약 4조 3000억원 규모의 미국 역류성 식도염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다.

JW중외제약, 다음달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 임상 결과 공개

 

JW중외제약, 다음달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 임상 결과 공개

JW중외제약(001060)은 다음달 9일부터 이틀간 서울 송파구 소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호텔에서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의 임상 경험을 공유하는 'HAVEN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HA

n.news.naver.com

- JW중외제약은 다음달 9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의 임상 경험을 공유하는 'HAVEN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0년 출시된 헴리브라는 처음에는 항체를 보유한 중증 A형 혈우병 환자에 한해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었으나, 2023년 5월부터는 만 1세 이상 비항체 환자까지 대상이 확대되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미국 미시간대학병원의 스티븐 파이프 교수를 비롯한 국내외 혈우병 전문가들이 참여해 헴리브라의 임상 결과와 치료 현장 경험을 공유하고 향후 치료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JW중외제약은 수년간 국내에서 사용되며 장기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고 있는 헴리브라가 환자들에게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독 관계사 레졸루트, 선천성 고인슐린증 치료제 3상서 긍정적 검토 의견 확인

 

한독 관계사 레졸루트, 선천성 고인슐린증 치료제 3상서 긍정적 검토 의견 확인

한독의 관계사 레졸루트는 23일(현지시간)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DMC)가 선천성 고인슐린증(HI) 환자 대상 RZ358(에르소데투그) 3상 임상 sunRIZE 연구를 대상자 수 확대 없이 계획대로 진행

n.news.naver.com

- 한독의 관계사 레졸루트는 선천성 고인슐린증(HI) 환자 대상 RZ358(에르소데투그) 3상 임상 sunRIZE 연구에 대해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가 대상자 수 확대 없이 계획대로 진행할 것을 권고했다고 발표했다. 중간 분석은 약 절반의 등록 환자를 대상으로 사전 지정된 주요 연구 평가 지표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이는 무용성 평가와 통계적 신뢰성 최적화를 위한 것이었다. 레졸루트의 최고 의료 책임자 브라이언 로버츠 박사는 이번 권고가 연구 설계 및 규모에 대한 초기 가정을 검증해주는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회사는 다음 달 환자 등록을 완료하고 올해 12월 sunRIZE 연구의 톱라인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독은 RZ358과 RZ402의 한국 내 상용화 권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레졸루트와 지속적으로 개발단계에 대해 협력하고 있다.

트럼프 관세 압박에 빅파마들 美에 돈뭉치 푼다…국내사 대응법은?

 

트럼프 관세 압박에 빅파마들 美에 돈뭉치 푼다…국내사 대응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관세였던 의약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뒤 덩치가 큰 글로벌 제약사, 이른바 '빅파마'들이 미국 투자 계획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미국에서 생산되지

n.news.naver.com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후, 로슈, 노바티스, 일라이 릴리, 존슨앤드존슨 등 글로벌 제약사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 확장 및 신설을 위한 대규모 투자 계획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다. 로슈는 향후 5년간 미국에 약 71조원을 투자해 제조 및 연구개발 기반을 확장하고 1만 2000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며, 노바티스는 33조원, 일라이 릴리는 39조원, 존슨앤드존슨은 79조원 규모의 미국 투자를 공표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GC녹십자 등 미국을 주요 시장으로 삼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이러한 상황을 주시하며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당장 미국 생산기지를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구체적인 정책이 나올 때까지 본격적인 움직임은 없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빅파마들의 최근 행보가 단순한 확장을 넘어 신규 건설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새로운 권력을 잡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려는 의도도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오늘의 뉴스 끗-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