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제 일요일도 끝이네요
다들 잘 보내셨나요?
저는 첫 주말부터 아주 알차게 보냈답니다.
과연 2025년은 어떻게 흘러갈 것인지 궁금해져요~
오늘의 뉴스 시작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927235
트럼프 2기 출범 눈앞…K-시밀러·CDMO 다 좋다
오는 20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사진) 당선자의 약가 인하정책 등이 국내 기업에 호재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중 바이오 패권 경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국
n.news.naver.com
- 이제 트럼프 2기가 얼마남지 않았네요. 벌써 오는 20일에 취임이라니.. 시간이 참 빠르기도 하고, 두려움이 앞서는데요. 오는 20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의 약가 인하정책 등이 국내 기업에 호재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중 바이오 패권 경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더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정부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신약허가 과정을 간소화하고, 바이오의약품 개발·상용화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291054
면역항암제 약효가 낮은 이유를 밝혀냈다
해외 연구진은 면역항암제 개발의 주요 표적인 특정 단백질 'PD-1'이 인간과 생쥐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즉, 기존에 인간과 생쥐가 가지고 있는 단백질 PD-1이 동일하다고 가
n.news.naver.com
- 비임상단계에서 약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물은 생쥐이죠. 생쥐에서 먼저 결과를 확인하고, 중동물, 대동물에서 효과를 한번더 입증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러한 비임상단계에서 나타난 약효를 바탕으로 임상단계에서 확인하게 됩니다. 그런데, 해외 연구진은 면역항암제 개발의 주요 표적인 특정 단백질 'PD-1'이 인간과 생쥐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 단백질 1(PD-1)'은 암 치료의 주요 표적으로 여겨져 왔는데요. PD-1은 우리 몸의 면역 세포가 너무 과하게 활동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입니다. 하지만 연구진이 분석해보니 사람과 쥐의 PD-1 단백질은 서로 많이 달랐다. 사람과 쥐의 PD-1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중 59.6%만 같았다. 나머지 40.4%는 다른 아미노산으로 구성돼 있었습니다. 이런 결과가 앞으로 어떤 흐름으로 이러질지 궁금해지네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58585
"AI 발전, 인간의 유전자까지 바꿀수도"
AI가 발전하면서 사회는 물론, 인간 진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더컨버세이션닷컴·기가진 등 외신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대학의 진화생물학자 로버트 브룩스 박사가 공개한 'AI가
n.news.naver.com
- 브룩스 박사는 진화생물학자들에게 AI 기술이 다양하게 발전하는 모습이 마치 생태계에서 미생물·식물·동물이 번성하는 것과 비슷할 것으로 봤다고 하는데요. AI는 인간에게 방대한 지식과 컴퓨팅 능력을 제공해 기억해야 할 부담을 덜어준다. 이로 인해 최근 수천 년 사이 인간의 뇌가 축소됐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데요. AI의 진화는 인간의 뇌를 더욱 축소시킬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뉴스를 읽어보니 AI 발전이 유전자까지 바꾼다는 제목은 다소 자극적인 내용이긴 하네요. 딱히 유전자를 바꾸는 내용은 아닌 듯 합니다.
'지아그데의 지적 기록 > 제약 이슈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01월 07일 오늘의 뉴스 (0) | 2025.01.07 |
---|---|
2025년 01월 06일 오늘의 뉴스 (0) | 2025.01.06 |
2025년 01월 03일 오늘의 뉴스 (1) | 2025.01.03 |
2025년 01월 02일 오늘의 뉴스 (2) | 2025.01.02 |
2025년 01월 01일 오늘의 뉴스 (3)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