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5년 01월 07일 오늘의 뉴스

지아그데의 지적 기록/제약 이슈 관련

by 지아그데 2025. 1. 7. 12:17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법 날씨가 추워지고 있는 화요일입니다.

이번 목요일엔 엄청 춥다는데 다들 조심하세요~

 

오늘의 뉴스 시작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292017

 

신라젠, 스위스 베이진으로부터 '병용 임상용' 약물 지원

신라젠이 스위스 제약사 베이진으로부터 병용 임상용 약물을 지원받는다.신라젠은 지난 6일(현지시간) 스위스 바젤에 본사를 둔 베이진과 임상 약물 지원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n.news.naver.com

- 베이진은 신라젠에 PD-1 억제제 티슬리주맙(Tislelizumab)을 제공해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고형암 치료를 위해 개발 중인 신라젠의 BAL0891과 병용 임상 시험을 진행합니다. 베이진이 개발한 티슬리주맙은 PD-1에 대한 높은 친화성과 결합 특이성을 가진 단일 클론 항체로 다양한 암종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항암제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36644

 

마티카 바이오, 美 희귀소아질환치료제 개발사와 AAV벡터 개발·생산 계약

차바이오텍의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가 미국 바이오기업 차일즈 큐어와 바이럴 벡터의 포괄적 개발·생산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n.news.naver.com

- 마티카 바이오는 희귀 소아질환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공정·분석법을 개발하고,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9) 벡터를 생산해 차일즈 큐어에 제공합니다. 차일즈 큐어는 마티카 바이오가 생산한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를 활용해 GNAO1(뇌병증), CDKL5 연관 질환 등과 같은 희귀 소아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할 예정인데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36604

 

ADC·비만치료제 전면에…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 13일 개막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투자 콘퍼런스인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MHC)’가 이달 13~16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다. 글로벌 빅파마들이 총출동하는 가운데 한국에서는 삼

n.news.naver.com

-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투자 콘퍼런스인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MHC)’가 이달 13~16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글로벌 빅파마들이 총출동하는 가운데 한국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유한양행, SK바이오팜과 다수의 바이오벤처 기업이 참석하는데요. 올해도 지난해처럼 차세대 항암제인 항체약물접합체(ADC), 비만치료제인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1(GLP-1) 계열 치료제, 인공지능(AI) 신약개발 등이 관심을 끌 전망입니다. 제가 뉴스를 보면서 다소 놀랐던 점은 지난해는 엔비디아가 개최한 설명회에 수 많은 인파가 몰려 AI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는 것이였는데요. 올해도 AI를 통한 신약개발에 관심이 큰 만큼 다양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젠 정말 AI가 모든 분야에 영향을 끼치는 세상이 온 것 같네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36564

 

GLP-1 비만약, 올해 100조 매출 올린다… 키트루다 3년 연속 1위 전망

비만치료제 ‘위고비’로 대표되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계열 약물이 올해 글로벌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는 3년 연속 글로벌 매출 1위

n.news.naver.com

- 비만치료제 ‘위고비’로 대표되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계열 약물이 올해 글로벌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는 3년 연속 글로벌 매출 1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여전히 비만과 암이 큰 축을 차지할 것이라는 예견이네요. 이러다가 2세대 뒤에는 GLP-1를 타겟하여 치료할 수 없는 유전자를 가진 아이가 태어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오늘의 뉴스 끗-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