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제와 달리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건강 잘 챙기고 계신가요?
보통은 비가 오던지 아니면 뭔가 기상현상이 있어야지 날씨가 추워지는데
오늘은 그냥 갑자기 추워져서 겨울이 다가왔네요.
마음도 쓸쓸한데, 날씨까지 추워지니...
그래도 힘들었던 2024년이 끝나가고 새로운 한 해가 온다는 설레임은 있네요~
오늘의 뉴스 시작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912868
'위고비' 성분 투여한 쥐, 유방암 종양 크기 줄었다[헬스노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수용체 작용제(GLP-1 Receptor Agonist·GLP-1RA)가 유방암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GLP-1RA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유명 모
n.news.naver.com
- 요즘에 위고비 관련 뉴스들의 꾸준히 나오네요. 이번에는 면역치료제로써 가능성을 보였다는데, 이정도면 만병통치약인가 싶기도하네요.. 과도한 언론 플레이는 분명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낼것같은데요. 언제까지 위고비가 우리의 관심을 받게 될지. 조만간 부작용 관련 뉴스가 나올 것 같은 예감이예요~ 조만간 위고비 관련 학술적 내용을 업로드해봐야겠어요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52803
MSF "인슐린펜 1달러에 공급하자"
국경없는의사회(MSF)가 인슐린펜에 대해 1달러 공급을 주장했다. 중저소득국가에서 당뇨병 환자가 급감하고 있지만 가격으로 인해 접근성이 떨어지자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제안을 내놓은 것이다.
n.news.naver.com
- 당뇨병 환자들이 최근에 꾸준히 증가하면서 혈당치를 낮춰주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은 익숙히 알고 계실거예요. 저는 인슐린펜에 대해서는 생소했는데요. 인슐린 펜이란, 8mm 이하 길이의 노보파인 일회용 주사침과 사용되도록 고안된 프리필드펜(플렉스펜, 색으로 구분)입니다. 플렉스펜은 1∼60단위를 주사할 수 있고 1단위씩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해요. 빠른 효과가 나타나서 전 세계에서 많이 쓰이는 것이라고 하네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916162
삼성바이오에피스, 내분비계·종양질환 치료제 유럽 허가 `성큼`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 자문위원회(CHMP)로부터 프롤리아와 엑스지바의 바이오시밀러 오보덴스와 엑스브릭의 품목허가 긍정 의견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프롤
n.news.naver.com
-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 자문위원회(CHMP)로부터 프롤리아와 엑스지바의 바이오시밀러 오보덴스와 엑스브릭의 품목허가 긍정 의견을 받았다고 하는데요. 기존 의약품인 프롤리아와 엑스지바는 암젠이 개발한 바이오 의약품으로, 프롤리아는 주성분인 데노수맙을 이용하여 골다공증 치료제로써 승인 받았으며, 엑스지바는 골전이 환자 등의 골격계 증상 예방 및 골거대세포종 치료제로 승인받았습니다. 바이오의약품에도 빛이 오기를 희망합니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915497?type=journalists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미국 매출 1년새 49.8%나 성장 증권가 "지속적 실적개선 기대" '미국에서 시작해 글로벌까지.' SK바이오팜 뇌전증 치료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판매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아시아권으로
n.news.naver.com
- 이미 지난 뉴스지만 눈에 띄는 내용이라 같이 기록해봤어요.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 아시아 임상 3상 환자를 지난해 7월 모집 완료됐고 올해 2월 환자 투약을 마무리했다고 해요. 임상 3상은 특히 쉽지 않은 단계인데 여기까지 간것도 대단하고, 완료했다는 것도 참 대단하네요. 뇌전증이란 저희가 기존에 알고 있었던 간질의 다른 명칭이예요. 뇌전증이란 발작을 초래할 수 있는 신체적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뇌전증 발작이 반복적으로(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발생하여 만성화된 질환군을 말합니다. 뇌전증을 가진 환자에 대한 편견도 심하고, 실제로 환자의 삶의 질이 많이 하락한 것이 현실이니, 세노바메이트가 임상을 마무리하고 얼른 시판되었으면 좋겠네요 :)
2024년 11월 21일 오늘의 뉴스 (1) | 2024.11.21 |
---|---|
2024년 11월 20일 오늘의 뉴스 (0) | 2024.11.20 |
2024년 11월 17일 오늘의 뉴스 (0) | 2024.11.17 |
2024년 11월 14일 오늘의 논문 :: 대사성 질환 치료를 위한 에너지 소비 및 섭식에 대한 NK2R 제어 (0) | 2024.11.14 |
2024년 11월 13일 오늘의 뉴스 (0) | 2024.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