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부터 날씨가 좀 풀린다고 하는데요.
이러다가 갑자기 여름이 오는게 아닐까 겁이나기도 합니다.
오늘의 뉴스 시작합니다.
셀트리온, 유럽 빅5 이탈리아서 바이오시밀러 입찰 성과 확대
셀트리온, 유럽 빅5 이탈리아서 바이오시밀러 입찰 성과 확대
셀트리온이 유럽 주요 5개국 중 하나인 이탈리아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앞세워 입찰 성과를 확대하고 있다.20일 셀트리온은 올해 1월 출시된 ‘스테키마’(성분명 우스테키누맙)가 2개월
n.news.naver.com
- 셀트리온이 유럽 주요 5개국 중 하나인 이탈리아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앞세워 입찰 성과를 확대하고 있다. 세계 유일의 인플릭시맙 SC 제형 치료제 '램시마SC'도 그동안 이탈리아에서 유일하게 인플릭시맙 SC 제형에 대한 입찰 시장이 없었던 사르데냐 주정부에서 해당 시장을 신설하면서 이탈리아 전역 모든 주정부에서 입찰이 가능해졌다. 유플라이마는 지난해 3·4분기 기준 이탈리아에서 43%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지난 분기에 이어 처방 1위를 이어갔다.
에이비엘바이오, ABL103 임상 1b/2상 추가 신청서 제출
에이비엘바이오, ABL103 임상 1b/2상 추가 신청서 제출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298380)는 'ABL103'과 MSD의 항-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탁센' 삼중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1b/2상 진행을 위해 임상 추가 신청서를 제
n.news.naver.com
- ABL103은 B7-H4와 4-1BB를 동시에 표적하는 이중항체로, 에이비엘바이오의 4-1BB 기반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T'가 적용된 파이프라인 중 하나다. 그랩바디-T는 종양 미세환경에서만 면역 T 세포를 활성화함으로써 기존 4-1BB 단일항체의 간 독성 부작용을 줄이고 항종양 활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번 임상 변경 신청서 제출과 함께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ABL103 병용요법을 평가하기 위한 본격적인 여정이 시작됐다"며 "ABL103이 키트루다 및 탁센과의 병용요법 임상에서 고무적인 효능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CDMO 리더십 어워즈' 12년 연속 수상
삼성바이오로직스, 'CDMO 리더십 어워즈' 12년 연속 수상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세계적 권위의 위탁생산개발(CDMO) 시상식인 ‘CDMO 리더십 어워즈’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12년 연속 수상했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CDMO 리더십 어워즈는 제약바이오 산
n.news.naver.com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세계적 권위의 위탁생산개발(CDMO) 시상식인 ‘CDMO 리더십 어워즈’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12년 연속 수상했다. CMO(위탁생산) 부문에서는 18만L 규모의 5공장을 올해 4월 가동 목표로 건설 중으로, 완공 시 총 생산 능력은 78만4,000L로 세계 최대 규모를 갖추게 됩니다. 현재 1~3공장 풀가동 중이며, 4공장은 지속적인 램프업(Ramp-up)을 통해 생산 역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시지바이오, 바이오스티뮬레이터 'QB_PLA' 수출 허가
시지바이오, 바이오스티뮬레이터 'QB_PLA' 수출 허가
시지바이오는 바이오스티뮬레이터 제품 'QB_PLA'의 수출 허가를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허가를 통해 일본, 칠레, 독립국가연합(CIS) 등 주요 해외 시장서 진출을 할 수 있게 됐다. QB_PLA는 피
n.news.naver.com
- 시지바이오는 바이오스티뮬레이터 제품 'QB_PLA'의 수출 허가를 획득했다. QB_PLA는 피부 속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바이오스티뮬레이터(Bio-Stimulator)로, 주사 시 자연스럽게 볼륨을 형성하고 자가 콜라겐 생성의 촉진을 통해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해당 제품은 폴리락틱애씨드(PLA, Poly-Lactic Acid)와 히알루론산(HA, Hyaluronic Acid) 등으로 구성됐다.
GIST-KAIST, 간 섬유화 신약 후보물질 개발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안진희 화학과 교수와 김하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공동연구팀이 간 섬유화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마련할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
n.news.naver.com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안진희 화학과 교수와 김하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공동연구팀이 간 섬유화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마련할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물질, ‘19c’는 간 섬유증 동물 모델에서 섬유화와 관련된 단백질(α-SMA*, TIMP1, Col1a1, Col3a1 등)의 발현을 억제하고, 세포외기질(ECM, Extracellular matrix)의 축적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세로토닌 수용체 2B(HTR2B) 길항제로 작용하는 신약 후보물질 ‘19c’를 발굴했으며, 이는 간별상세포(HSC cells)에서 세로토닌 수용체 2B(5HT2B)의 작용을 차단해 섬유화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오늘의 뉴스 끗-
2025년 03월 22일 오늘의 뉴스 (0) | 2025.03.22 |
---|---|
2025년 03월 21일 오늘의 뉴스 (0) | 2025.03.21 |
2025년 03월 19일 오늘의 뉴스 (0) | 2025.03.19 |
2025년 03월 18일 오늘의 뉴스 (0) | 2025.03.18 |
2025년 03월 15일 오늘의 뉴스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