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간밤에 내린 눈으로 저 포함 많은 사람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데요.
정말 올해처럼 눈이 많이 온 경우는 처음 보네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2120147
관측기록 다 깨버린 수도권 '폭설'...전문가도 "처음 봐" [Y녹취록]
■ 진행 : 윤재희 앵커, 조진혁 앵커 ■ 화상전화 : 반기성 YTN 재난자문위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n.news.naver.com
거의 삿포로 눈꽃축제 안가도 될 정도..!
오늘의 뉴스 시작합니다.
셀트리온, '다잘렉스'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절차 돌입
셀트리온, '다잘렉스'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절차 돌입
셀트리온은 혈액암의 일종인 다발 골수종 치료제 다잘렉스(성분명 다라투무맙) 바이오시밀러 ‘CT-P44’의 글로벌 임상 3상 절차에 돌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를 위해 셀트리온은 CT-P44의 글로벌
n.news.naver.com
- 셀트리온은 혈액암의 일종인 다발 골수종 치료제 다잘렉스(성분명 다라투무맙) 바이오시밀러 ‘CT-P44’의 글로벌 임상 3상 절차에 돌입했습니다. 다잘렉스는 다발 골수종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결합해 암 세포의 성장을 막는 표적항암제인데요. 셀트리온은 현재 글로벌 주요국에서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 유방암 및 위암 치료제 허쥬마, 전이성 직결장암 치료제 베그젤마로 강력한 표적항암제 트리오를 구축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중입니다.
리가켐바이오 '빅딜'의 비결은? ADC 개발의 핵심은 '이것'
리가켐바이오 '빅딜'의 비결은? ADC 개발의 핵심은 '이것'
제약·바이오업계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항체약물접합체(ADC) 시장에서 앞서 나가려면 속도감 있는 개발이 중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ADC 기술이 초기에 비해 성숙하고 개발업체가 늘면서
n.news.naver.com
- 항체약물접합체(ADC)는 항체에 약물을 붙여 암세포만 표적 치료하는 기술입니다. ADC는 폭탄을 실은 유도미사일에 비유되곤 하는데요. 치료제의 구조가 복잡해 개발과 제조 과정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지만,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덜 미치면서도 암세포에 약물을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두드러지며 차세대 항암 치료제로 각광 받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인천 송도 바이오캠퍼스에 올해 준공을 목표로 최대 500ℓ 규모의 ADC 전용 시설을 건설하는 중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도 미국 시러큐스 공장에 ADC 생산시설을 증설하고 있으니 이제 국내에서도 많은생산이 기대됩니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 5만명 넘어…"치료 어렵고 사망률 높아"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 5만명 넘어…"치료 어렵고 사망률 높아"
항생제 중에서도 강력한 항생제인 '카바페넴'이 듣지 않는 균에 감염된 환자가 올해 5만명을 돌파했다. 전수감시가 이뤄진 이후 최대 규모로 7년 만에 8.7배가 뛴 것이다. 카바페넴에 내성이 생길
n.news.naver.com
- 항생제는 내성이 한번 생기면 더이상 작용하지 않는 문제가 있는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인데요. 강력한 항생제인 '카바페넴'이 듣지 않는 균에 감염된 환자가 올해 5만명을 돌파했다는 소식은 가히 놀랍습니다. 물론 항생제의 오남용이 있었을 수 있지만, 단순 저의 생각으로는 적자생존에 의해 카바페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균은 사라지고, 유전적 변이에 의해 내성이 있는 균들이 증가하면서 이런 결과가 나온게 아닐까 싶습니다. 실제 항생제 내성균 감염은 항생제 오·남용이 직접적인 원인이며, 감염된 환자와 접촉하거나 의료기구 등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중증 환자가 많은 병원이나 요양병원 등에서 활발하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하겠네요.
한인 과학자가 만든 ‘접시 속 알츠하이머병’, 신약 개발 속도 9배 높였다
한인 과학자가 만든 ‘접시 속 알츠하이머병’, 신약 개발 속도 9배 높였다
김두연 MGH 교수 연구진, 2014년 알츠하이머병 세포 모델 개발 신약 개발 속도 개선, 실제 효과 있는지는 검증 못해 10년 연구 끝에 효능 검증 플랫폼 개발 성공 지난 10년간 알츠하이머병 세포 모델
n.news.naver.com
- 어제 알츠하이머 질환의 임상이 잇달아 실패하고 있다는 뉴스를 업로드했었는데요. 오늘은 약물의 효과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세포모델연구의 결과가 뉴스에 나왔네요! 보통 전임상 단계에서 시간이 1년 가까이 시간이 소요되는데 6주 안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니 매우 기쁜 소식입니다. 다만, 전임상에서 효과가 있어도 실제 사람에게 도입했을 때 효과가 없는 경우를 많이봐서 개인적으로 아쉽네요. 어제도 기록했듯이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알츠하이머질환을 겪는 환자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한번 임상 3상을 통과하여 시판되면 분명 돈방석인데, 거기까지 가기가 참 쉽지 않습니다. 오늘도 알츠하이머 질환을 극복하는 연구를 통해 좋은 성과를 만날 수 있길 바랍니다.
오늘의 뉴스 끗-
2024년 12월 01일 오늘의 뉴스 (0) | 2024.12.01 |
---|---|
2024년 11월 29일 오늘의 뉴스 (3) | 2024.11.29 |
2024년 11월 27일 오늘의 뉴스 (0) | 2024.11.27 |
2024년 11월 26일 오늘의 뉴스 (1) | 2024.11.26 |
2024년 11월 25일 오늘의 뉴스 (0) | 202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