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3월 중순이 다 되어가네요.
그래서 그런지 낮에는 꽤 포근한 날씨인 것 같네요
제 인생에도 얼른 봄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논문 시작합니다.
유한양행 폐암신약 렉라자, '타그리소 종주국' 영국서도 허가
유한양행 폐암신약 렉라자, '타그리소 종주국' 영국서도 허가
유한양행의 렉라자가 미국 유럽에 이어 영국에서도 시판 허가를 받았다. 경쟁 제품인 아스트라제네카 타그리소의 '종주국' 영국에서도 규제 장벽을 넘으면서 시장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평
n.news.naver.com
- 영국 의약품 및 건강제품 규제청(MHRA)은 2025년 3월 6일, 비소세포폐암이 전이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라제르티닙(Lazertinib, 제품명: Lazcluze)**의 사용을 승인했다. 이 약은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유전자에 특정 변이가 있는 환자에게 사용되며, 기존 승인된 항암제 **아미반타맙(Amivantamab)**과 병용 투여된다. 라제르티닙은 EGFR을 차단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늦추거나 억제하고, 종양 크기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하루 한 번 정제 형태로 복용한다. 임상 시험에서 총 1,074명의 환자가 무작위로 세 그룹으로 나뉘어 ▲라제르티닙+아미반타맙 병용요법, ▲라제르티닙 단독요법, ▲다른 항암제(오시머티닙) 단독요법을 각각 투여받았다. 연구 결과, 라제르티닙+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을 받은 환자들이 다른 치료법보다 더 오랜 기간 동안 질병 진행 없이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제르티닙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피부 발진, 가려움, 건조한 피부, 식욕 감소, 메스꺼움, 근육 경련, 구토, 발열 등이 보고되었다. MHRA는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해당 약물의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미국 국립보건원 연구 수백 건 중단 위기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조치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수백 건의 연구가 종료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네이처에 따르면 최근 NIH 직원들은 당국으로부터 트랜스젠더, 과학
n.news.naver.com
- 국내 뉴스는 아니지만,,, 트럼프의 행보가 지금 다양한 곳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니까 한번 미국의 뉴스를 가져와봤습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조치로 국립보건원(NIH)의 수백 건의 연구가 중단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6일(현지시간) 네이처에 따르면, NIH 직원들은 트랜스젠더, 성 정체성,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프로그램, 환경 관련 연구 보조금을 검토하고 취소할 것을 지시받았다. 익명의 NIH 관계자는 수백 건의 연구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DEI 관련 프로젝트는 지원 중단, 부분적으로 관련된 연구는 DEI 내용을 삭제하는 조건으로 재협상, 협상이 불가능하면 연구 종료를 요구하는 방침을 세웠다. 이로 인해 일부 연구자들은 NIH로부터 연구 지원 중단 통보를 받았다. 같은 대학 리사 파지오 교수도 "연구 지속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미국인의 건강에 도움이 될 연구 결과가 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법적 문제도 제기된다. 조지타운대 데이비드 슈퍼 교수는 정부가 연구자의 부정행위가 아닌 이유로 보조금을 중단하는 것은 합법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부광약품, 중추신경계 품목 확대 나선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아리플러스정’ 출시 부광약품이 중추신경계(CNS) 품목 라인업을 확대하고 나섰다. 부광약품은 조현병·양극성 우울증 치료제 ‘라투다(성분명 루라시돈염산염)’를 필
n.news.naver.com
- 아리플러스정 10/20mg(성분명 도네페질염산염수화물+메만틴염산염)은 지난 1일 건강보험 급여 적용과 동시에 출시됐다. 아리플러스정은 도네페질염산염과 메만틴염산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알츠하이머병 치료 복합제다. 기존 치료제와 달리 두 성분을 하나의 정제에 결합해 중등도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보다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부광약품은 라투다 이외에도 ▲불면증 치료제 ‘잘레딥(성분명 잘레플론)’ ▲우울증 치료제 ‘익셀캡슐(성분명 밀나시프란염산염)’ ▲뇌전증 치료제 ‘오르필(성분명 발프로산나트륨)’ 등 다양한 CNS 분야 제품들을 갖추고 있다.
동아에스티, 저신장증 어린이 150여명에 성장호르몬제 지원
동아에스티, 저신장증 어린이 150여명에 성장호르몬제 지원
동아에스티는 '2025년 성장호르몬제 기증식'을 열고 저신장증 어린이 150여명에게 10억원 상당의 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7일 발표했다. 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Ⅱ 주사
n.news.naver.com
- 동아에스티는 '2025년 성장호르몬제 기증식'을 열고 저신장증 어린이 150여명에게 10억원 상당의 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7일 발표했습니다. 국내 저신장증 어린이는 전체 어린이의 3% 정도다. 이들 중 20%는 성장호르몬 결핍, 특발성 저신장증, 염색체 이상 등의 질환을 앓고 있다. 이를 치료하려면 성장호르몬제를 장기간 투여해야 하지만 비용 부담 탓에 치료 시기를 놓치는 사례도 많습니다.
파미셀 줄기세포치료제 연구, 우수과제 선정
파미셀이 추진 중인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급성심근경색 줄기세포치료제 관련 과제가 한국연구재단이 뽑는 우수신진 연구과제로 선정됐다. 파미셀은 ‘반응성 예측 바이오마커 발굴을 통한 급
n.news.naver.com
- 파미셀은 줄기세포치료제를 투여받은 환자를 치료효과에 따라 반응군(R)과 비반응군(NR)으로 나눈 후, 반응군에서 더 우수한 줄기세포 능력을 확인했다. 또한, 멀티오믹스 분석을 통해 줄기세포치료제의 치료 반응성을 결정하는 바이오마커 후보를 발굴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과제는 급성심근경색 줄기세포치료제(하티셀그램-에이엠아이)의 유효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기능을 고도화한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하며 작용기전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핵심 바이오마커를 선정 및 검증하고, 세포배양배지를 개발하여 치료제의 작용 기전과 생체 내 유효성을 검증할 계획입니다.
오늘의 뉴스 끗-
2025년 03월 11일 오늘의 뉴스 (0) | 2025.03.11 |
---|---|
2025년 03월 10일 오늘의 뉴스 (0) | 2025.03.10 |
2025년 03월 07일 오늘의 뉴스 (0) | 2025.03.07 |
2025년 03월 06일 오늘의 뉴스 (0) | 2025.03.06 |
2025년 03월 05일 오늘의 뉴스 (1)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