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의 뉴스 시작합니다.
[K바이오 뉴프런티어 (2)] 지니너스 "신약 개발 필수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
[K바이오 뉴프런티어 (2)] 지니너스 "신약 개발 필수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
“지니너스는 이제 더이상 단순히 분석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아닙니다. 제약·바이오 기업에 신약 개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박웅양 지니너스 대표는 최근 서
n.news.naver.com
- 지니너스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스핀오프해 2018년 설립된 유전체 분석 전문기업입니다. 지니너스의 초기 주력 제품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기반의 암 유전자 패널검사인 '캔서스캔(CancerSCAN)'이였습니다. NGS 기반으로 암, 비만 등 질병 관련 유전자를 분석해 치료는 물론 예방까지 아울렀던 회사 역량을 AI 기반 유전체 정보 활용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는데요. 지니너스가 현재 정조준하고 있는 시장은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입니다.
오스코텍 “렉라자 로열티로 흑자 본격화, 올해 기술수출 성과 낼 것”
오스코텍 “렉라자 로열티로 흑자 본격화, 올해 기술수출 성과 낼 것”
“특례상장 바이오회사 중 유일하게 자체 개발한 신약의 로열티로 흑자를 내는 기업으로 거듭났습니다.” 김정근 오스코텍 대표는 5일 인터뷰에서 “올해부터 렉라자는 각 국가별 허가 마일스
n.news.naver.com
- 오스코텍은 올해 상반기에만 렉라자의 유럽과 일본 승인, 하반기 중국 승인 마일스톤이 들어올 예정이다. 존슨앤드존슨(J&J)이 유한양행에 지불하는 마일스톤은 유한양행과 오스코텍(자회사 제노스코)이 각각 6대 4로 나눠 갖는다. 오스코텍의 제2렉라자는 화학항암제와 표적항암제의 내성을 치료하는 항암제다. 화학항암제가 듣지 않는 환자의 90%는 종양 세포가 내성을 갖기 때문이다. 표적항암제는 1~2년 안에 환자 20~50% 정도가 내성을 호소합니다. 내성치료 항암제 리드파이프라인은 OCT-598이다. OCT-598는 EP 수용체(EP2/EP4)를 타깃해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의 역할을 차단한다. PGE2는 정상 조직에서 상처의 치유와 조직의 재생을 돕는 생리적 작용을 한다. 암세포는 이 기전을 활용해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다.
MSD, '키트루다SC' 이르면 올해 출시…바이오시밀러 방어전 총력
MSD, '키트루다SC' 이르면 올해 출시…바이오시밀러 방어전 총력
미국 머크(MSD)가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피하주사(SC) 제형을 이르면 올해 안에 출시할 예정이다. 키트루다 특허 만료를 3년 앞두고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기업들이 MSD의 뒤
n.news.naver.com
- 미국 머크(MSD)가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피하주사(SC) 제형을 이르면 올해 안에 출시할 예정이다. 키트루다 특허 만료를 3년 앞두고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기업들이 MSD의 뒤를 바짝 쫓고 있는 만큼 방어전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MSD는 키트루다SC를 통해 바이오시밀러 진입을 최대한 미루고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MSD는 키트루다SC의 시장 점유율이 최대 40%에 이를 것으로 기대한다. 기존 IV 제형을 사용하던 환자들의 SC 제형 전환이 늦어도 2년 안에는 이뤄질 것이란 분석이다.
"중증 비만 청소년도 '살 빼는 약' 먹는다…안전성 첫 입증"[김규빈의 저널톡]
"중증 비만 청소년도 '살 빼는 약' 먹는다…안전성 첫 입증"[김규빈의 저널톡]
GLP-1 수용체 작용제(GLP-1RA)가 청소년 중증 비만 환자의 체중감량과 유지에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임상 데이터가 부족하고, 성장기에 미칠 부작
n.news.naver.com
- GLP-1 수용체 작용제(GLP-1RA)가 청소년 중증 비만 환자의 체중감량과 유지에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임상 데이터가 부족하고, 성장기에 미칠 부작용 등으로 청소년의 GLP-1 RA 사용이 제한돼 왔다. 엑세나타이드 XR을 투여한 청소년들의 렙틴 수치는 523.9pg/mL이며, 대조군은 1323.4pg/mL으로 나타났다. 렙틴은 포만감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음식 섭취 후 식욕을 억제하고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오늘의 뉴스 끗-
2025년 03월 08일 오늘의 뉴스 (0) | 2025.03.08 |
---|---|
2025년 03월 07일 오늘의 뉴스 (0) | 2025.03.07 |
2025년 03월 05일 오늘의 뉴스 (1) | 2025.03.05 |
2025년 03월 04일 오늘의 뉴스 (2) | 2025.03.04 |
2025년 03월 03일 오늘의 뉴스 (2)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