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5년 02월 21일 오늘의 뉴스

지아그데의 지적 기록/제약 이슈 관련

by 지아그데 2025. 2. 21. 10:52

본문

안녕하세요.

 

다음주 날씨를 봤더니 갑자기 영상으로 올라가더라구요.

그러면서 이 블로그를 쓴지가 벌써 4개월이 넘었다는게 놀라울 따름입니다.

시간은 참 빠른데, 저에게 남은것은 없는 것 같아 약간 허탈하네요.

이제 정말 열심히 살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의 뉴스 시작합니다.

 

GC녹십자웰빙, 국내 최초 ‘모발 건강 유산균’ 식약처 승인

 

GC녹십자웰빙, 국내 최초 ‘모발 건강 유산균’ 식약처 승인

GC녹십자웰빙(대표 김상현)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락틸락토바실러스 커베투스 LB-P9’을 모발 상태(윤기·탄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인정형 원료로 승인받았다고 21일 밝혔다. LB-

n.news.naver.com

- GC녹십자웰빙(대표 김상현)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락틸락토바실러스 커베투스 LB-P9’을 모발 상태(윤기·탄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인정형 원료로 승인받았습니다. 모낭의 세포 발달과정에 매우 중요한 윈트신호전달계의 감소가 탈모의 원인 중 하나로 연구되고 있다. LB-P9은 동물모델 연구를 통해 모낭 세포 수 증가 및 모발의 밀도 증가를 확인했다. 세포 및 조직 재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윈트신호전달계의 활성화를 통해 모발 성장에 관여하는 인자를 촉진시켜, 모낭의 일반 주기 중 휴지기를 감소시키고 성장기 기간을 유의적으로 연장시킴을 확인했습니다.

서울대·KAIST··퓨쳐켐, ‘암세포만 정밀 타격’ 방사성 신약 도전…"AI로 개발 속도"

 

서울대·KAIST··퓨쳐켐, ‘암세포만 정밀 타격’ 방사성 신약 도전…"AI로 개발 속도"

서울대병원·한국과학기술원(KAIST)·퓨쳐켐(220100)이 난치암의 대명사로 꼽히는 삼중음성유방암과 췌장암을 극복하기 위한 신약 개발에 나선다. 2029년까지 연구비 150억 원을 투입해 방사성 의약

n.news.naver.com

- 서울대병원·한국과학기술원(KAIST퓨쳐켐(220100)이 난치암의 대명사로 꼽히는 삼중음성유방암과 췌장암을 극복하기 위한 신약 개발에 나선다. 2029년까지 연구비 150억 원을 투입해 방사성 의약품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공동 연구팀은 '방사성 리간드 치료제' 개발을 추진한다. 방사성동위원소가 달린 리간드(암에서 발현되는 특정 단백질을 표적해 결합하는 물질)를 이용한 일종의 차세대 항암제입니다. 특히 공동연구팀은 생성형 인공지능(AI)과 생물정보학(BI) 등을 활용해 삼중음성유방암과 췌장암에 대한 표적물질 및 리간드 발굴 뿐 아니라 효능 및 기전 테스트의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합니다.

비만약도 '메이드 인 코리아'…빅파마 생산기지 된 K바이오

 

비만약도 '메이드 인 코리아'…빅파마 생산기지 된 K바이오

한국 제조업자개발생산(ODM) 기업의 ‘메이드 인 코리아’ 문구가 세계 제약산업 역사를 다시 쓰고 있는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GLP)-1 계열 비만약’에도 붙게 됐다. 주인공은 SK팜테코다. 뛰어

n.news.naver.com

- 한국 제조업자개발생산(ODM) 기업의 ‘메이드 인 코리아’ 문구가 세계 제약산업 역사를 다시 쓰고 있는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GLP)-1 계열 비만약’에도 붙게 됐다. 주인공은 SK팜테코입니다. 한국 기업은 항암제, 자가면역질환제 등에 많이 쓰이는 항체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다. 대표 주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인데. 올해 4월 5공장이 가동되면 78만4000L의 생산력을 확보한다. 세계 1위 CDMO업체인 스위스 론자를 앞서게 된다고 합니다.

 

단독투약으론 효과 한계…'약물 다변화'해 암 잡는다

 

단독투약으론 효과 한계…'약물 다변화'해 암 잡는다

차세대 항암제 기술인 항체약물접합체(ADC) 의약품 매출 1위는 일본 다이이찌산쿄의 엔허투다. 엔허투 이후 월등한 효능을 보여준 ADC 항암제가 나오지 못하고 있다. 한국 ADC 개발사들은 ADC의 낮

n.news.naver.com

- 마법의 탄환으로 불리는 ADC는 암세포를 정확히 타격하는 기술이다. 암을 찾아가는 항체와 약물(페이로드), 이 둘을 연결하는 링커로 구성된다. 약물은 암세포에 타격을 줄 수 있는 강력한 세포 독성약물을 사용한다. 약물이 암세포 사멸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 하지만 최근 개발되는 ADC는 단독 투약으로 좋은 항암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오늘의 뉴스 끗-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