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제 경주에서 서울 왔는데, 경주는 진짜 더웠는데,
서울은 나름 시원하네요...?
내일은 다시 더워지겠죠? ㅎ,,ㅎ
오늘의 뉴스 시작합니다.
기대감 커진 '보건의료·제약바이오'.. 정부 주도 R&D투자 지원체계 구축 [이재명 시대 성장과 통합의 대한민국]
기대감 커진 '보건의료·제약바이오'.. 정부 주도 R&D투자 지원체계 구축 [이재명 시대 성장과 통
이재명 대통령 취임과 함께 한국 보건의료 및 제약바이오 산업 전반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공공 주도로 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R&D) 투자 등 정책지원이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10일
n.news.naver.com
- 이재명 대통령 취임으로 한국 보건의료 및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며, 공공 주도의 R&D 투자와 정책지원이 예상된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의료의 공공재적 성격과 제약바이오 산업이 국가 전략산업임을 강조해왔으며, 희귀·난치질환 치료제 접근성 향상과 건강보험 급여 범위 확대를 공약으로 제시했습니다. 필수의약품의 국가 자급률 향상을 위해 백신, 항생제, 원료의약품 등에 대한 공공 주도형 R&D 체계 구축이 주요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산업의 고위험 특성을 고려해 정부의 R&D 인센티브 확대, 세제혜택 강화, 임상시험 단계에서의 정부 리스크 분담 등이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경쟁력 있는 신약 개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업계에서는 이번 정부 출범이 K제약바이오가 글로벌 무대에서 도약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 될 것이라며, 정책의 일관성과 산업 안정성 확보를 통해 세계 바이오 산업 내 기술력 기반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K바이오 기술수출, 벌써 10조원 넘었다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이 올 들어 잇달아 기술 수출에 성공하며 누적 계약 실적 10조원을 돌파했다. 글로벌 대형 제약사뿐만 아니라 뷰티기업까지 K바이오의 경쟁력을 높이 평가해 앞다퉈 러브
n.news.naver.com
-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이 올해 들어 연이은 기술 수출 성공으로 누적 계약 실적 10조원을 돌파하며, 글로벌 대형 제약사와 뷰티기업으로부터 K바이오의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올해 기술 수출 실적은 공개 금액 기준 총 10조2941억원에 달해 이미 지난해 전체 실적(7조5386억원)을 넘어섰으며, 2021년 사상 최고 기록(14조516억원) 경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 아리바이오가 UAE 아르세라와 최대 8130억원 규모의 알츠하이머 치료제 계약을, 올릭스가 프랑스 로레알과 모발 화장품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성과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의 GSK 4조1000억원 계약, 알테오젠의 아스트라제네카 1조9600억원 계약 등 조 단위 대형 계약도 줄을 잇고 있는 상황입니다. 업계에서는 중국이나 일본 대신 한국에 주목하는 글로벌 기업이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 바이오 기술력과 임상 경쟁력 향상으로 기술 수출 성과가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종근당 2.2조 투자, 시흥에 R&D 허브
종근당이 경기 시흥에 2조2000억원을 투자해 최첨단 바이오의약품 복합 연구개발(R&D) 시설을 짓기로 했다. 이를 통해 항체, 재조합 단백질, 항체약물접합체(ADC),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등 차세대
n.news.naver.com
- 종근당이 경기 시흥에 2조2000억원을 투자해 최첨단 바이오의약품 복합 R&D 시설을 건설하기로 하여, 항체, 재조합 단백질, ADC, CGT 등 차세대 신약 연구를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이번 투자는 1941년 종근당 창사 이후 최대 규모로, 경기도 내 단일 바이오기업 투자 유치액 중에서도 최대 규모라고 발표되었습니다. 복합연구개발단지는 바이오의약품 연구시설과 연구 지원 센터, 연구개발 실증시설로 구성되며, 암·신경계 질환·면역질환 등에 대한 다양한 모달리티 기술 연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중항체, 표적단백질분해(TPD), 약물전달시스템(DDS) 등 차세대 플랫폼 기술도 함께 연구하여 종근당의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근에 시흥배곧서울대병원과 서울대 시흥캠퍼스가 들어설 예정이어서 산학연 및 병원 간 협력도 용이할 전망이라고 밝혔습니다.
아리바이오, 알츠하이머 치료제 8200억원대 기술 수출
아리바이오, 알츠하이머 치료제 8200억원대 기술 수출
아리바이오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 본사를 둔 생명과학 기업 아르세라와 경구용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AR1001'에 대한 6억 달러(약 8200억원) 규모 기술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AR10
n.news.naver.com
- 아리바이오가 UAE 생명과학 기업 아르세라와 경구용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AR1001'에 대한 6억 달러(약 8200억원) 규모의 기술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약으로 아르세라는 중동·중남미·아프리카·우크라이나 및 CIS 지역의 AR1001 독점 판매권을 보유하게 되며, 아리바이오는 글로벌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하게 됩니다. AR1001은 하루 한 번 복용하는 PDE5 억제제 기반의 경구용 치료제로, 신경세포 보호 및 생성촉진, 독성 단백질 제거, 뇌 혈류 개선 등 다중 기전으로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합니다. 아리바이오의 AR1001 글로벌 독점 판매권 계약은 이번 아르세라 계약을 포함해 누적 1조9400억원을 달성했으며, 현재 복수의 빅파마와 북미·유럽 등 주요 시장 딜을 진행 중입니다. AR1001의 글로벌 임상 3상은 13개국에서 목표 환자 수를 초과한 1500명의 환자 등록을 완료했으며, 주요 임상 결과는 2026년 상반기 중 발표될 예정입니다.
디앤디파마텍 파트너 멧세라, 월 1회 주사로 8.4% 감량…복합제 전략 ‘속도’[바이오UP&DOWN]
디앤디파마텍 파트너 멧세라, 월 1회 주사로 8.4% 감량…복합제 전략 ‘속도’[바이오UP&DOWN]
디앤디파마텍 기술이전 물질과 병용투여 전제 MASH 치료제 임상 결과도 이달 중 나와 디앤디파마텍의 파트너사 멧세라(Metsera)가 개발 중인 비만·대사질환 치료제가 글로벌 임상 무대에서 긍정적
n.news.naver.com
- 디앤디파마텍의 파트너사 멧세라가 개발 중인 비만·대사질환 치료제 'MET-233i'가 임상 1상에서 36일 시점 기준 위약 대비 평균 체중 8.4% 감소라는 긍정적인 초기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 물질은 반감기 19일의 약동학 특성으로 월 1회 투여가 가능하며, 이상 반응 없이 우수한 내약성을 확인해 안전성에서도 긍정적 평가를 받았습니다. 멧세라는 MET-233i를 단독 투여뿐만 아니라 디앤디파마텍으로부터 도입한 GLP-1 작용제 'MET-097i'와의 병용요법으로 개발해 세계 최초 월 1회 복합 대사질환 치료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양사는 2023년 총 6개 품목, 최대 8억350만달러(1조100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으며, 6월 ADA 학술대회에서 MET-097i 임상 2b상 데이터를, 연내 또는 2026년 초 병용 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디앤디파마텍은 자체 개발 중인 MASH 치료제 'DD01'의 임상 2상 1차 평가지표 결과도 이달 중순 발표할 계획이며, 이러한 성과로 주가도 전일 대비 6.62% 상승한 8만5400원에 마감했습니다.
그래디언트바이오컨버전스, 바이오USA서 '뇌 오가노이드' 선보여
그래디언트바이오컨버전스, 바이오USA서 '뇌 오가노이드' 선보여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오는 16일부터 19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USA)’에 3년 연속 참가한다고 밝혔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n.news.naver.com
-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가 오는 16일부터 19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USA)'에 3년 연속 참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학회에서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 뱅킹과 역분화 줄기세포(iPSC) 기반 뇌 오가노이드, AI 타깃 발굴 플랫폼을 소개하고 글로벌 제약 바이오 기업들과 공동개발 논의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회사는 현재 900종 이상의 PDO를 자체 확보해 세계 최대 규모의 PDO 뱅킹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PDO에는 환자의 임상 정보와 유전체 정보가 함께 구축되어 신약 후보물질의 약효 평가와 신규 타깃 발굴에 활용 가능합니다. 특히 iPSC 유래 미세아교세포와 뇌 오가노이드의 공배양 모델은 퇴행성 뇌질환의 신경염증 반응을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어 알츠하이머와 파킨슨 등 뇌 질환 치료제 약효 평가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진근 대표는 최근 FDA가 신약 개발에서 동물실험 요건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인간 기반 모델 중심의 평가로 전환하면서 오가노이드 플랫폼에 대한 글로벌 제약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정밀의료 기반 모델을 바탕으로 글로벌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일동 유노비아, 美당뇨병학회서 ‘GLP-1’ 연구 성과 공개
일동 유노비아, 美당뇨병학회서 ‘GLP-1’ 연구 성과 공개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회사인 유노비아가 미국 학회에서 비만치료제의 연구 성과를 공개한다고 10일 밝혔다. 유노비아는 오는 20일부터 23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당뇨병학
n.news.naver.com
-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회사 유노비아가 오는 20일부터 23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당뇨병학회(ADA)에서 비만·당뇨 치료를 위한 대사성 질환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의 연구 성과를 공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ID110521156은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의 저분자 화합물 기반 경구용 합성 신약 후보물질로, 기존 펩타이드 소재 주사제 대비 뛰어난 생산성과 사용 편의성을 가지며 임상 1상에서 유효 용량 범위에서 위장관계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습니다. 유노비아는 현재 다중용량상승시험(MAD)을 진행 중이며, 해외 빅파마들과의 협업을 통해 임상 개발과 함께 라이선스 아웃 및 제휴 파트너 발굴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오늘의 뉴스 끗-
'지아그데의 지적 기록 > 제약 이슈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06월 14일 오늘의 뉴스 (9) | 2025.06.14 |
---|---|
2025년 06월 13일 오늘의 뉴스 (5) | 2025.06.13 |
2025년 06월 09일 오늘의 뉴스 (1) | 2025.06.09 |
2025년 06월 05일 오늘의 뉴스 (1) | 2025.06.05 |
2025년 06월 04일 오늘의 뉴스 (4) | 202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