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5년 02월 27일 오늘의 뉴스

지아그데의 지적 기록/제약 이슈 관련

by 지아그데 2025. 2. 27. 16:25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의 뉴스 시작합니다.

 

보툴리눔 톡신 시술 증가에 ‘내성 의심’도 덩달아 늘어…소비자 38% “내성 의심돼”

 

보툴리눔 톡신 시술 증가에 ‘내성 의심’도 덩달아 늘어…소비자 38% “내성 의심돼”

24년도 보툴리눔 톡신 소비자 설문조사 보툴리눔 톡신 시술이 최근 증가하면서 내성 발생이 의심되는 사람도 크게 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위해관리협의회 산하 보툴리눔 톡신 안

n.news.naver.com

- 보툴리눔 톡신 시술이 최근 증가하면서 내성 발생이 의심되는 사람도 크게 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보툴리눔 톡신은 신경독소와 복합단백질로 이뤄져 있다. 복합단백질은 신경독소 대비 5배가량 커 인체 면역반응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효과가 떨어지는 내성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발암성 단백질' 특성 밝혔다…암 성장 제어 신약에 기여

 

'발암성 단백질' 특성 밝혔다…암 성장 제어 신약에 기여

췌장암, 폐암, 대장암 등 고형암의 주요 유발인자로 알려진 단백질 ‘KRAS'를 표적으로 한 항암제 개발은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KRAS 발현을 조절하는 새로

n.news.naver.com

- 췌장암, 폐암, 대장암 등 고형암의 주요 유발인자로 알려진 단백질 ‘KRAS'를 표적으로 한 항암제 개발은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KRAS 발현을 조절하는 새로운 네트워크를 규명했다. KRAS 타깃 항암 신약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KRAS는 구조적으로 독특한 형태를 갖고 있어 KRAS의 비정상적인 활성을 억제하는 저해제가 제대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었는데요. 연구팀은 암 세포주와 암에 걸린 쥐 모델을 활용해 KRAS USP9X/NDRG3 단백질 간에 형성된 네트워크를 차단하면 KRAS 분해가 유도돼 췌장암 생성 및 성장이 억제된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HLB "간암 신약, ESMO 가이드라인 1차 치료제로 등재"

 

HLB "간암 신약, ESMO 가이드라인 1차 치료제로 등재"

HLB는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이 세계 최대 권위 암학회인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발간한 '간세포암 진단·치료 가이드라인'(HCC)에 1차 치료제로 등재됐다고 27일 밝혔다. ESMO

n.news.naver.com

- HLB는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이 세계 최대 권위 암학회인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발간한 '간세포암 진단·치료 가이드라인'(HCC)에 1차 치료제로 등재됐습니다. 아직 신약승인이 나지 않은 약물에 대해 현장의 의사들에게 처방을 권하는 약으로 등재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데요.  '베바시주맙+아테졸리주맙', '더발루맙+트레멜리무맙'도 1차 치료제도 함께 권고됐습니다. 

 

뇌졸중 후유증, 집에서 관리한다…피부 붙이는 AI 센서 개발

 

뇌졸중 후유증, 집에서 관리한다…피부 붙이는 AI 센서 개발

포스텍과 스위스 루체른 연구소 공동 연구진 전 세계 사망원인 2위에 해당하는 뇌졸중은 치료 후에도 후유증이 심각하고 재발률이 높다. 한국을 포함한 국제 연구진이 뇌졸중 후유증을 관리하

n.news.naver.com

- 전 세계 사망원인 2위에 해당하는 뇌졸중은 치료 후에도 후유증이 심각하고 재발률이 높은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서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생명을 위협할 뿐 아니라 음식물을 제대로 삼키지 못하는 ‘연하곤란’이나 발음이 불분명해지는 ‘구음장애’와 같은 후유증을 남기기도 합니다. 연구진은 인공지능(AI) 기반의 ‘앙상블(ensemble) 분류 모델’을 개발해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자동으로 분석되도록 했다. 삼키기, 기침, 말하기, 헛기침 등의 뇌졸중과 관련된 여러 동작들이 전문 의료진의 도움 없이 정확하게 측정, 구별되고 이를 바탕으로 수준 높은 의료 평가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니너스 "세포분석으로 ADC 개발 지원…상반기 글로벌社 계약 공개"

 

지니너스 "세포분석으로 ADC 개발 지원…상반기 글로벌社 계약 공개"

"항체약물접합체(ADC) 임상시험의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를 찾아주는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상반가내 글로벌 제약사와의 계약을 공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박웅양 지니너스 대표는

n.news.naver.com

- 박웅양 지니너스 대표는 " 항체약물접합체(ADC) 임상시험의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를 찾아주는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상반가내 글로벌 제약사와의 계약을 공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라며 기존 사업의 영역을 대폭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ADC 관련 연구자 주도 임상에서 얻은 샘플의 공간오믹스 데이터로부터 암 조직의 미세환경을 시각회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입니다. 

'옵디보+여보이' 대장암 1차 치료제 가능성↑…FDA 신속심사

 

'옵디보+여보이' 대장암 1차 치료제 가능성↑…FDA 신속심사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MS)의 '옵디보'(니볼루맙)와 '여보이'(이필리무맙) 병용요법이 대장암 1차 치료제로 승인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기존 대장암 치료는 화학요법 중심이었는데, 면역항암

n.news.naver.com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MS)의 '옵디보'(니볼루맙)와 '여보이'(이필리무맙) 병용요법이 대장암 1차 치료제로 승인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기존 대장암 치료는 화학요법 중심이었는데,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이 1차 치료 옵션이 되면 대장암 치료 패러다임이 변화할 전망입니다. 옵디보는 프로그램된 세포사멸 단백질-1(PD-1) 면역관문억제제로 면역시스템을 활성화해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옵디보는 2014년 세계 최초로 PD-1 억제제로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여보이는 세포독성 T 림프구 항원-4(CTLA-4) 억제제로 면역세포(T세포) 활성화를 유도해 항암 면역 반응을 증가시킵니다. 

 

오늘의 뉴스 끗-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