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4년 11월 19일 오늘의 뉴스

카테고리 없음

by 지아그데 2024. 11. 19. 17:14

본문

안녕하세요~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감기걸리신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

그래서 저는 외출할때마다 마스크를 꼭꼭 쓰고다니려고 노력합니다.

모두들 건강 조심하세요~

오늘의 뉴스 시작합니다.

인공 장기 대량생산 기술 개발…"동물실험 대체할지 주목"

 

인공 장기 대량생산 기술 개발…"동물실험 대체할지 주목"

포스텍·UNIST 연구팀 "신장 오가노이드 일관된 품질로 생산" 한국연구재단은 포스텍 김동성 교수팀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박태은 교수팀이 오가노이드를 균일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플랫폼

n.news.naver.com

- 오가노이드라는 말이 익숙하기도 낯설기도 하신 분들이 많을거예요~ 오가노이드(organoid)는 인체 유래 세포를 배양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유사 장기로, 신약 개발 단계에서 필수적인 동물 실험을 대체할 시험법으로 주목받고 있어요. 요즘 동물의 권리의 중요성이 관심받게 되면서 많은 회사들 특히 화장품회사에서는 동물실험을 지양하고 있는 현실이예요. 이것이 가능하다면, 많은 동물들의 희생을 막을 수 있겠네요~!

'먹는 비만약' 대웅제약, 경구용 비만 신약 물질 특허 출원

 

'먹는 비만약' 대웅제약, 경구용 비만 신약 물질 특허 출원

대웅제약(069620)이 '먹는 비만약'으로 개발 중인 비만 신약 후보물질의 국내 특허출원을 마쳤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발굴한 비만 치료제 후보 물질은 GLP-1과 GIP 호르몬이 동시에 작용해 식욕 억

n.news.naver.com

- 얼마전의 위고비에 관련된 뉴스가 한창 나왔었는데요. 오늘은 위고비와 같은 비만약을 개발하고 있는 대웅제약의 소식이네요~ 대웅제약은 GLP-1 수용체와 GIP 수용체를 동시에 자극하면서도 저분자로 이루어진 '경구용 이중 작용제' 개발을 통해 기존 치료제들이 가진 한계점을 극복할 계획이라고 해요. 아무래도 약물은 투여방법이 중요한데, 경구용이라면 시판만 된다면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을 수 있을 듯 싶네요!

CJ바이오사이언스, 모회사 CJ제일제당 바이오 매각 소식에 상한가[Why바이오]

 

CJ바이오사이언스, 모회사 CJ제일제당 바이오 매각 소식에 상한가[Why바이오]

CJ바이오사이언스가 모회사 CJ제일제당(097950)의 바이오 사업부문 매각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했다.CJ제일제당이 그동안 주력해온 사료용 아미노산 등 그린바이오 사업부문을 매각하고 신약개발

n.news.naver.com

- CJ제일제당이 그동안 주력해온 사료용 아미노산 등 그린바이오 사업부문을 매각하고 신약개발 사업을 강화할 것 같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네요~ 다만 항체치료제 등 신약개발 바이오 사업은 지속할 계획이라고 하니 앞으로의 행보에 관심을 가져봐야겠어요!

메디톡스 관계사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유럽 임상 1b 승인

 

메디톡스 관계사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유럽 임상 1b 승인

메디톡스 관계사 ‘리비옴’이 지난 18일 유럽의약품감독국(EMA)으로부터 차세대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LIV001’의 유럽 임상 1b상 승인을 받았다고 19일 밝혔다.대표적 난치성 면역질환인 염증

n.news.naver.com

- 이번에 메디톡스에서 유럽 1b상 승인을 받은 LIV001’은 염증성대장염을 타겟으로 한 의약품입니다. 이는  안전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에 유전자치료제 기술을 융합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한 미생물유전자치료제라고 합니다. 미생물이 다양한 질병의 치료제로써 개발되고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제가 학부시절부터 관심을 가지고 있던 장내 미생물을 타겟으로 한다는게 내심 신기하네요!

메드팩토, 美간학회서 지방간염 치료제 후보물질 전임상 결과 발표

 

메드팩토, 美간학회서 지방간염 치료제 후보물질 전임상 결과 발표

혁신신약 개발기업 메드팩토는 이달 15~19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된 미국간학회(AASLD 2024)에서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 후보물질 ‘MIMERET’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9

n.news.naver.com

- 마지막으로 메드팩토의 대상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에 관한 기사입니다.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산화에 관련된 유전자를 조절해 지방간을 감소시키고 체중 감량을 촉진함을 확인했다고 해요. 제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NASH)의 마우스모델은 다뤄본적이 있어서 대사 이상 관련 지방간염은 다른 범위인가 했는데, 이전 명칭이 NASH이고, 최근에 변경된 명칭이 MASH라고 해요. MASH는 지방간염의 일종이지만, 보통 많이들 알고있는 지방간은 알코올성에 의해 생기는데요. 대사이상 지방간염은 비만, 당뇨병, 고혈압 등의 대사질환과 관련된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지방간 질환입니다. 

 

오늘의 뉴스 끗-

 

오늘도 불안하지만, 잘 이겨내보겠습니다..!

불안함의 원인은 어디서 오는걸까요...? ㅠ